OS/Linux

728x90
반응형

 

다른 개발실 분들이 구축해놓은 Linux의 경우,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거나, 

문서화된 자료가 부족한 경우 가 간혹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기본적으로 어떤 종류의 Linux를 사용했는지 항상 체크를 해보는데요.

자주 사용하는 방식을 정리하였습니다.

 

 


 

Linux 배포판 버전확인

CentOS

[root@localhost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Ubuntu

[root@localhost /]# cat /etc/lsb-release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2.04
DISTRIB_CODENAME=precise
DISTRIB_DESCRIPTION="Ubuntu 12.04 LTS"​

 

공통적으로 사용

[root@localhost /]# cat /etc/*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Derived from Red Hat Enterprise Linux 7.6 (Source)
NAME="CentOS Linux"
VERSION="7 (Core)"
ID="centos"
ID_LIKE="rhel fedora"
VERSION_ID="7"
PRETTY_NAME="CentOS Linux 7 (Core)"
ANSI_COLOR="0;31"
CPE_NAME="cpe:/o:centos:centos:7"
HOME_URL="https://www.centos.org/"
BUG_REPORT_URL="https://bugs.centos.org/"

CENTOS_MANTISBT_PROJECT="CentOS-7"
CENTOS_MANTISBT_PROJECT_VERSION="7"
REDHAT_SUPPORT_PRODUCT="centos"
REDHAT_SUPPORT_PRODUCT_VERSION="7"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cpe:/o:centos:centos:7

 


 

Linux 커널(Kernel) 버전 확인

[root@localhost /]# cat /proc/version
Linux version 3.10.0-957.21.3.el7.x86_64 (mockbuild@kbuilder.bsys.centos.org) (gcc version 4.8.5 20150623 (Red Hat 4.8.5-36) (GCC) ) #1 SMP Tue Jun 18 16:35:19 UTC 2019

 

(uname, 상세 정보는 '-a' 옵션사용)

[root@localhost /]# uname -a
Linux localhost.localdomain 3.10.0-957.21.3.el7.x86_64 #1 SMP Tue Jun 18 16:35:19 UTC 2019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root@localhost /]# uname -r
3.10.0-957.21.3.el7.x86_64

 


 

Linux bit 확인

[root@localhost /]# getconf LONG_BIT
64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방화벽

-- 방화벽 정지하기
[root@localhost /]# systemctl stop firewalld

-- 방화벽 시작하기
[root@localhost /]# systemctl start firewalld

 

-- 방화벽 설정
[root@localhost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6379/tcp
[root@localhost /]# firewall-cmd --reload


-- 방화벽 체크
[root@localhost /]# vi /etc/firewalld/zones/public.xml

IP 확인 및 변경

[root@localhost /]# ip addr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th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pfifo_fast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15:5d:12:a2:00 brd ff:ff:ff:ff:ff:ff
    inet 192.168.137.88/24 brd 192.168.137.255 scope global eth0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fe80::215:5dff:fe12:a200/64 scope link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 네트워크 설정 경로
[root@localhost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 네트워크 설정 파일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ls
70-persistent-ipoib.rules  ifdown           ifdown-bnep  ifdown-ippp  ifdown-post    ifdown-sit     ifup-Team      ifup-bnep  ifup-ippp  ifup-plip   ifup-ppp     ifup-tunnel       network-functions
ifcfg-eth0                 ifdown-Team      ifdown-eth   ifdown-ipv6  ifdown-ppp     ifdown-tunnel  ifup-TeamPort  ifup-eth   ifup-ipv6  ifup-plusb  ifup-routes  ifup-wireless     network-functions-ipv6
ifcfg-lo                   ifdown-TeamPort  ifdown-ib    ifdown-isdn  ifdown-routes  ifup           ifup-aliases   ifup-ib    ifup-isdn  ifup-post   ifup-sit     init.ipv6-global

ip addr 명령어로 네트워크를 확인하였을때, lo와 eth0 두개의 네트워크가 보이는 걸 알 수 있다. 

lo 는 항상 보여지는 것 같고 (정확히는....)

eho0 네트워크가 기본적으로  UP 상태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vi ifcfg-eth0




TYPE=Ethernet
BOOTPROTO=dhcp	-- dhcp 설정상태
DEFROUTE=yes
PEERDNS=yes
PEERROUTES=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no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PEERDNS=yes
IPV6_PEERROUTES=yes
IPV6_FAILURE_FATAL=no
NAME=eth0
UUID=d7790772-01fe-426c-a759-ade7a7159902
DEVICE=eth0
ONBOOT=yes		-- 최초 no 로 설정되어 있으며, 재부팅시 계속사용한다면 yes로 변경

 

변경 후에는, network를 재시작 혹은 재부팅 해주면 됩니다.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systemctl restart network

혹은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service network restar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Windows Server와 Linux를 혼용해서 사용하다보니, Windows 쪽으로 작업이 쏠리다 보면, 

어느순간 Linux 쪽 디렉토리 구조가 낫설때가 있습니다.

CentOS 에만 적용된 구조는 아닌 공통된 구조입니다.

잊지 않기 위해서 정리해봅니다.

 

Linux Directory 구조

[root@localhost /]# ls
bin  boot  dev  etc  home  lib  lib64  media  mnt  opt  proc  root  run  sbin  srv  sys  tmp  usr  var

 

/

최상위 디렉토리(root directory). 모든 디렉토리는 최상위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위치된다.

 

/bin

대부분의 중요한 실행 파일들이 담겨 있다.

 

/boot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파일들이 담겨 있다.

 

/dev

디바이스 파일들이 담겨 있다.

 

/etc

시스템 설정 상태를 담고 있는 파일들이 담겨 있다.

 

/home

일반 계정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를 담고 있다.

 

/lib, lib64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담겨 있다.

 

/mnt

다른 장치들을 마운트하는 디렉토리

 

/proc

프로세스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들이 담겨 있다.

 

/root

root의 홈 디렉토리.

 

/sbin

root가 시스템 운영을 위해 필요한 실행 파일을 담고 있다.

 

/tmp

임시 디렉토리

 

/usr

사용자들을 위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과 설정 파일들이 담겨 있다.

 

/var

로그 파일 등의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를 가상머신이나, 컴퓨터에 깔때, 잘못깔았거나 처음에는 GUI가 필요해서 설치했다가

 

나중에 텍스트모드로 사용하고싶을때, 다시 돌리고싶은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간단한 설정으로 바로 터미널모드로 바꿀수있는데요.

 

저는 Centos 7 버전으로 테스트하였습니다.

 

Centos7에서는 systemctl이라는 커맨드를 사용 할 수있는데요. 

 

이 커맨드로 쉽게 터미널모드로 부팅할수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단 먼저 현재 어떤 모드로 실행되고있는지 알아보는 명령아는 아래와같습니다.

 

 

systemctl get-default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두가지중 하나가 나올텐데요.

multi-user.target
graphical.target

multi-user.target은 터미널로 부팅한다라는 의미입니다.

 

graphical.target은 GUI 환경으로 부팅한다라는 의미입니다.

 

get을 해서 상태를 가져왔으니, 상태를 지정하는 방법은 set이라는거, 눈치 채실수있겠죠?

 

원하는 부팅환경으로 바꾸기위해 아래 두가지 명령어중에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합니다.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첫번째 명령어로 set하시면 부팅시에 터미널모드로 부팅이되고, 

아래 명령어로 set하시면 GUI 환경으로 부팅하게 됩니다.

 

Centos 7 이전버전에서는 /etc/inittab 문서에서 runlevels를 바꾸는것으로 부팅환경을 바꿀수있었지만

 

Centos 7 이상버전에서는 글내용과같은 방법으로 set하여 바꿀수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