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28x90
반응형

요즘들어 항상 생각했던 한가지

책을 읽기는 하지만, 그 책에 대해서 과연 독후감 형식의 총평? 서평?을 내가 남길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다.

내 생각을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항상 생각했지만, 실천하지 못했던 일들을 한번 도전해보고자 

이렇게 글을 써본다 ^^;

글을 잘 써보고 싶지만 잘 안되는데 이렇게 내 생각을 정리하다 보면 조금씩 늘겠지^^





나는 죽을 때 까지 재미있게 살고싶다 - 이근후



제목이 맘에 들어서 선택했던 책이다. 

수레바퀴처럼 반복되는 생활속에서 어떤 재미의 요소를 끄집어 내 줄수 있는 책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훓어 보지도 않고 도서관에서 빌렸던 책!


꼭한번 지금의 나이보다, 더 나이가 든다면, 다시 한번 읽고싶은 책이다. 

선뜻 나이가 먹으면서 생기는 고정관념들을 깨고, 정말 글쓴이는 재미있게 살고 있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더불어 지은이의 경험이 그대로 녹여져 있어서 설득력이 더해졌다.


책을 읽으면서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면, 

물론 5가족이 하나의 집을 짓고 같이 산다는 것도 참 재미있었지만, 

장남 결혼 조건으로 며느리와 6개월을 같이 살아야 분가 시켜주겠다고 했던, 발상이 참 인상 깊었다. 


결혼한 입장에서, 내 아내에게 아버님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면 나는 어떻게 반응했을까?

근데 결론적으로는 참 바람직한 발상이였다고 생각한다.

서로 모르는 환경에서 몇십년을 살았던 가정이 한 식구가 된다는것도 어려운데,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갖는 다는것

겉모습이 아닌, 서로의 모든 모습을 보고 적응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을텐데, 지은이와 며느리 모두 현명했던거 같다.

나도.. 며느리가 생긴다면 그렇게 말해볼까? ^^;;



지금은 한번 읽었다는 것에 만족하지만, 좀더 내가 나이가 든다면, 더 많은 부분이 와 닿을것 같은 책이였다. 





728x90

시간관리 방법론 - GTD

2016. 1. 27. 21:28
728x90
반응형

GTD (Get Things Done)


GTD 방법론은 정해진 방법에 따라 업무를 분류하고 처리 합니다. 


일이 들어오는 대로 GTD의 개념에 따라서 4가지로 분류하고, 그 분류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방식!


Task 를 처리 하는 순서는 간단히 아래와 같다


수집 (Collect)

분류 (Process)

검토 (Review)

실행 (Do!)




728x90
728x90
반응형

ASP.NET C# 환경에서 개발을 하다보니, 예전 C, C++ 개발에서 주로 이용하던

구조체 (struct) 를 활용한 방법이 궁금해졌습니다.

 

그리하여, 이를 이용한 예제를 구현해봤는데요.

for문 대신 foreach 문을 같이 사용해서 처리해봤습니다.

 

 

 

구조체를 사용하는 이유!

가장 궁금한 사항이 위 사항이 아닐까 합니다.

 

"굳이 구조체를 사용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배열로 처리하면 안되나요??"

 

라고 묻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분들게 드리는 해답!

 

동일한 형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구조체를 사용할 필요없이 배열로 구현하면 되지만,

만약 int, string, DateTime 등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면, 구조체로 구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예제를 구현 해 보면서 이해 하시면 빠를 것 같습니다.

 

 

 

 

예제 구현

 

 

 

1. 먼저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

 

 

 

 

 

 

 

2. 아래와 같이 파일 중 .cs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3. namespace 안에 구조체를 선언해 줍니다. 저는 visual studio 2005 환경에 .NET Framework 2.0 환경이다 보니, get, set 을 수동으로 구현해 줬습니다.

저는 int, string, DateTime 형식으로 구조체를 구현했습니다.

 

 

 

 

 

4. 구조체를 생성 하였다면, 클래스 내에 전역 변수로 선언 해줬습니다.

구조체 배열로 선언해서, 배열안에 사용자의 정보를 담고 사용할 목적으로 구성하였습니다.


 

 

 

 

 

 

5. 자 이제 값을 넣는 부분인데요. 변수로 만든 User 에 배열로 접근하면, 구조체로 만든 Property가 보이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접근해서 set 을 이용해서 값을 넣어주게 됩니다.


 

 

 

 

 

 

6. 아래와 같이 값을 임시로 넣어봤습니다.


 

 

 

 

 

7. 이제 사용방법인데요. 저는 for 문을 이용해서 값을 사용할 수 있지만,

foreach 문을 이용해 보았습니다.

 


 

8. 컴파일 후 실행화면 입니다.


 

 

 

 

 

만약 설계에 struct 형식이 필요하다면, 응용해서 사용해보면 좋을 듯 합니다.

 

 

 

 

728x90
728x90
반응형

 

 

 


프로젝트 계획수립 전 10가지 질문

 

 

 

 

1. 이 프로젝트는 왜 수행되어야 하나?


2. 누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면 하는가?

3. 어떤 결과가 기대되는가?

4. 반드시 해결해야 할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5. 추측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6. 어떤 작업이 포함되어 있는가?

7. 각 작업의 시작 시점과 끝나는 시점은?

8. 누가 그 일을 하는가?

9. 다른 필요한 자원은 무엇인가?

10. 위험 요인은 무엇인가?










728x90
728x90
반응형

머리속에 기억해두자니, 자주 사용하지는 않고~ 그렇다고 안필요하진 않은! 이 포맷팅!!

먼저 숫자 형식에 대한 포맷팅을 먼저 정리했습니다.

 

 

 

숫자형식 포맷팅을 이용하면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포맷팅은 System. String.Format 매서드에 기반하여 적용됩니다. 

 

 

형식지정자

종류

예제코드

출력결과

C / c

통화
Currency

Response.Write(string.Format("{0:C}", 2.5));

₩3

Response.Write(string.Format("{0:C}", -3.5));

-₩4

D / d

10진법
Decimal

Response.Write(string.Format("{0:D}", 00035));

35

E / e

과학적지수
Scientific

Response.Write(string.Format("{0:E}", 342));

3.420000E+02

F / f

고정 소수점
Fixed-point

Response.Write(string.Format("{0:F2}", 35.22));

35.22

Response.Write(string.Format("{0:F0}", 35.22));

35

G / g

일반
General

Response.Write(string.Format("{0:G}", 123456));

123456

N / n

숫자
Number

Response.Write(string.Format("{0:N}", 25000000));

25,000,000.00

P / p

백분율
Percentage

Response.Write(string.Format("{0:P}", .21548));

21.55%

Response.Write(string.Format("{0:P1}", .112345));

11.2%

X / x

16진법
Hexadecimal

Response.Write(string.Format("{0:X}", 250));

FA

Response.Write(string.Format("{0:X}", 0xffff));

FFFF

 

[출처 : MSDN]

 

 


728x90
728x90
반응형

 

 

실무진에서 이벤트 관련한 코딩을 진행하다 보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것이 시간 및 날짜의 차이를 구하는 구문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간단하게 ASP.NET 안에서 C# 구문을 이용하여

날짜, 시간, 분, 초의 차이를 구하는 구문을 만들어 보았다.

 

 

 

차이 구하기

 


  1. DateTime StartDate = Convert.ToDateTime("2012-05-07 08:00:00");
  2. DateTime EndDate = Convert.ToDateTime("2012-05-10 10:20:30");
  3.  
  4. TimeSpan dateDiff = EndDate - StartDate;
  5.            
  6. int diffDay = dateDiff.Days;
  7. int diffHour = dateDiff.Hours;
  8. int diffMinute = dateDiff.Minutes;
  9. int diffSecond = dateDiff.Seconds;
  10.  
  11.  
  12. Response.Write("날짜차이 : " + diffDay.ToString() + "일 <br/>");
  13. Response.Write("시간차이 : " + diffHour.ToString() + "시간 <br/>");
  14. Response.Write("분차이 : " + diffMinute.ToString() + "분 <br/>");
  15. Response.Write("초차이 : " + diffSecond.ToString() + "초 <br/>");
  16.  
  17. Response.End();

 

 

 

결과 화면


날짜차이 : 3일
시간차이 : 2시간
분차이 : 20분
초차이 : 30초

 

 

 

위와 같은 결과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728x90

+ Recent posts